top of page

확인학습문제 제8강

  • pastortkim
  • May 12, 2016
  • 2 min read

확인학습문제 제8강

  1. 설교의 기본 유형 중 한 가지만 설명해 보십시오.

  2. 본문 설교

  3. 무슨 말씀으로 무엇에 대하여 설교할 것인지 본문을 중심으로 하는 설교이다.

  4. 본문 설교는 결정되어진 본문의 접근에 있어서 그 심도가 어느 설교보다 진지하고, 메시지의 내용과 성격에 있어서 본문만을 중심으로 한다는 엄격한 제한을 둔다.

  5. 본문 설교의 고유한 특성

  6. 본문의 길이를 3-4절 이내로 짧게 정한다.

  7. 설교의 주제를 비롯한 주안점들이 모두 본문에서만 유출되도록 하여 설교자와 회중의 시각이 본문 이외의 곳에 가지 않도록 한다.

  8. 본문에 함축되어 있는 메시지의 발굴에 집중하여 본문의 핵심과 쉽게 만나게 한다.

  9. 본문의 정황을 비롯하여 중심된 단어들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석의를 시도하여 본문의 깊은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10. 본문 설교의 장점

  11. 설교자가 우선적으로 본문의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의하여 성경 언어와 그 주변 도구들과의 접근이 쉬워진다는 점이다.

  12. 설교자의 개인적인 사상과 경험을 들려주는 잡다한 수식의 필요가 대폭 삭감될 수 있다는 점이다.

  13. 회중이 정확한 메시지를 받을 뿐만 아니라 좀 더 깊이 있는 성경 지식을 전수받을 수 있다는 점 등이다.

  14. 본문 설교의 문제점

  15. 설교자의 취향과 지식의 정도에 따라 단편적인 부분에 머물게 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16. 이러한 오류는 자연스럽게 회중에게 편협된 성경지식을 소유하게 하여 진리의 왜곡이 있게 될 수 있다.

  17. 설교자가 자신의 사상과 주장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본문을 선택하여 자기 합리화의 도구로 삼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1. 분석 설교의 위험성은 어떤 것입니까?

  2. 분석 설교는 철저히 원고화하여 자신의 모습이 감추어지고 말씀의 주인이 등장하도록 하지 않으면 이 설교 형태는 설교자의 예리한 분석과 지식의 나열로 끝날 위험성이 너무나 가까이 도사리고 있다.

  1. 서사 설교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신앙 생활을 계속한 회중은 성경의 중요한 사건들을 어느 경우 설교자보다 더 잘 알고 있다는 현실에서 출발된다.

  3. 그들이 알고 있는 성경의 사건이나 인물 또는 비유를 어떻게 다시 설교로 엮어 회중에게 새로운 감화를 줄 수 있을 것인가의 대답을 찾는데서 본 서사 설교는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1.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설교 사역은 어떻게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2. 회중이 설교를 듣기 위하여 오는 존재들이 아니라 예배를 드리기 위하여 오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되도록 해야 한다.

  3. 시작적인 전달보다는 오감을 움직일 수 있는 설교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4. 디지털 시대에 회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설교 형태를 다양화해야 한다.

  5. 설교의 언어를 붓과 색깔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6. 설교는 설교자와 회중의 두 인격이 교류되는 순간임을 명심하고 영상 매체 활용에 유의해야 한다.

  1. 연역법적 전개론과 귀납법적 전개론의 특성을 간략하게 비교해 보십시오.

  2. 연역법적 전개론의 특성

  3. 무엇보다도 성경에 충실하여 본문의 의존도가 어떤 전개 형태보다 높아 복음적인 설교의 강단에서 총애를 받는다.

  4. 논리를 좋아하고 혼돈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전개 형태로서 작용한다.

  5. 설교자들이 자신들의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수준 미달의 설교 형태를 보이지 않고 말씀 중심의 틀을 지킬 수 있다.

  6. 뚜렷한 주제의 설정과 일목요연한 대지의 논리는 단순한 사고에 젖어 사는 회중과 메시지의 만남을 보다 쉽게 가져올 수 있다.

  7. 연역법적 형태를 취할 수 밖에 없는 강해 설교와 같은 경우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전개 형태로서 그 가치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8. 귀납법적 전개론

  9. 회중이 경험하고 있는 삶의 상황이나 문제점으로부터 본문의 메시지를 찾아 나선다.

  10. 회중이 설교자의 사상과 상호 작용하는 중에 설교의 동참 의식이 높아진다.

  11. 설교자가 진행하는 설교의 움직임에 회중이 함께 동승하여 말씀의 결론 지점에 도달한다.

  12. 지금까지 있어 온 명령 일변도의 설교에서 벗어나 회중으로 하여금 문제의 현장을 보게 하여 경험적 감각이 함께 동원된다.

  13. 회중이 동참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대감과 예상을 향한 흥미를 지속하면서 설교의 종착역에 도달하게 한다.


Comments


Featured Posts
Check back soon
Once posts are published, you’ll see them here.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TAYLO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