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Guide 9
- pastortkim
- May 12, 2016
- 2 min read
Study Guide 9
욥의 고난에 대한 욥의 세 친구와 엘리후는 어떤 관점의 차이는 무엇인가?
욥은 세 친구들은 욥의 고난이 죄 때문에 왔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욥의 회개를 요청하였으나 욥은 끝까지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고 하나님의 부당성에 항의했다.
엘리후는 욥의 세 친구들과는 달리 욥이 당한 곤경에 대해서 깊은 통찰을 하고 있다.
엘리후는 네 번의 발언을 통하여 욥에게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엘리후는 자신의 말이 다음과 같기에 욥에게 자기의 말을 들을 것을 요구하였다. 자신의 말은 1) 정직하고 진실하며 2) 성령에 영감을 담고 있으며 3) 인간적인 조건으로는 욥에게 충고할만한 자격이 없기에 겸손히 하나님의 진리만을 전하기 때문이다.
엘리후는 하나님의 공의와 공평에 대해서 변호하고 있다. 1) 하나님은 결단코 악을 행하지 않으시며 사람이 행한 일을 따라 갚되 그 행위대로 갚아주신다. 2) 하나님은 땅과 온 세계를 주관하시는 분이시므로 아무도 그 분을 공의에서 벗어나게 할 수 없다. 3) 하나님은 모든 생명의 주관자시기 때문에 신과 호흡을 거두시면 한 순간에 모든 생명과 사람들이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 엘리후는 악인이 당할 징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1) 하나님은 사람의 모든 걸음을 감찰하시기 때문에 하나님 앞에서 악을 행한 자들은 어둠이나 그늘에 숨을 수가 없다. 2) 하나님의 심판은 즉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3) 하나님께서 악인들을 사람이 보는 앞에서 심판하시는 이유는 그들이 하나님을 떠나 하나님의 말씀을 자기와 상관없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4) 심지어 하나님께서는 국가도 개인과 같이 공의로 대하신다.
“하나님은 자기의 무죄함에 대해 보상해 주지 않는다”고 외치는 욥의 고발에 대해 대답하면서 “하나님의 주권”을 변호한다. 1) 하나님은 지고하신 분이므로 사람의 유죄나 무죄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으신다. 2) 하나님께서 욥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지 않는 것은 그의 교만함 때문이다.
엘리후는 두번째 발언에서 “하나님의 공의”에 대해서 변호했고, 세 번째 발언에서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해서 변호했다. 이제 그는 마지막 발언을 통하여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언급하고 있다. 그는 1) 사람을 다스리는 일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공의를 말하고 2) 자연을 다스리시는 일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주권(자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하나님의 첫번째 발언의 내용은 무엇인가?
하나님께서는 우주론과 해양학, 기상한, 그리고 천문학에 대한 일련의 질문을 통해 욥이 하나님의 섭리를 판단할 능력이 있는지를 물으신다. 하나님은 반어법을 사용해서 효과적으로 욥의 무지함을 지적하신다. 또 10가지 동물을 들어 욥의 무능력과 무지함을 드러내신다.
하나님의 두번째 발언의 내용은 무엇인가?
이번 발언은 오직 두 동물에게만 주의를 집중하며 첫번째와는 달리 도전과 책망으로 끝맺는 말이 없다.
욥은 언제 갑절의 복을 받게 되었는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욥은 세 친구들이 다시 찾아와서 중보 기도를 부탁했을 때, 기꺼이 자기를 모욕한 친구들을 위해서 기도해 주었으며, 하나님께서는 그 기도를 기쁘게 받으시고 그들을 용서해 주셨다. 또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하심으로 세 친구들의 죄를 씻어 주셨으며 동시에 욥을 친구들 앞에서 높여주심으로 욥의 마음의 상처를 위로해 주셨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