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tudy Guide 7

  • pastortkim
  • May 12, 2016
  • 2 min read

Study Guide 7

  1. 엘리바스가 신비주의, 경험주의자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 엘리바스는 욥에게 네가 믿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경외이며, 너의 소망은 행위를 완전케 하는 것이 아니냐고 말하면서 다시 한번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 행위를 온전케 하라고 원하고 있다.

  3. 고난에 대한 이유(4:7-11) – 그는 욥에게 ‘죄 없이 망한 자가 누구이며 정직한 자가 끊어진 일이 어디 있느냐?’고 도전한다.

  4. 환상에 대한 보고(4:12-21) – 엘리바스는 신비주의자이거나 적어도 영적인 체험을 중시하는 경험주의자였다. 그는 자기의 말을 입증하기 위해서 자기가 본 환상에 대해서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욥에게 다음과 같이 충고한다.

  5. 욥에 대한 충고(5:1-16) – 엘리바스는 욥이 부르짖어도 하나님의 응답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의 부르짖음은 죄인을 징계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모르기 때문에 일으킨 미련한 분노이며, 하나님의 뜻을 모르는 어리석은 자의 시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1. 빌닷이 전통주의 자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 욥이 엘리바스의 말에 대해 비난을 하게 되자 이번에는 수아 사람 빌닷이 그를 반박하고 나섰다. 엘리바스는 욥이 하나님의 징계에 대해서 원망하는 것을 비난하였으나 빌닷은 욥이 하나님의 공의에 대해서 비난하는 것을 비난한다. 빌닷의 말을 들어보면, 그는 과거의 전통을 중시하는 전통주의자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는 욥에게 옛 선조들에게 묻고 열조들이 이미 터득한 일을 배우라고 권한다. 다시 한번 욥에게 회개할 것을 권한다. 빌닷은 하나님은 순전한 자를 버리지 않고 악한 자를 버리시는 분임을 상기시킨다. 그리고 만일 욥이 회개하기만 하면 하나님께서 다시 그의 입에 웃음과 즐거운 소리를 채우시고 그를 미워하는 자를 부끄러움을 당하게하시며, 그를 미워하는 자의 집이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충고하였다.

  1. 소발의 발언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그의 성품은?

  2. 소발은 욥이 무고하다는 주장과 하나님이 세상을 부당하게 다스린다고 하는 주장에 대해서 강력하게 반대한다. 들나귀, 소발은 친구라고 부르기 어려울 정도로 욥에 대하여 무례하게 공격한다. 그러면서 욥에게 죄악과 불의를 버리고 회개하라고 충고한다. 소발은 욥이 만일 끝까지 회개하지 않으면 그가 이런 악인과 같이 멸망에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1. 욥과 세 친구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관점의 차이점들은 무엇인가?

  2. 욥의 세 친구는 욥이 그에게 일어난 일로 인해서 일어버린 것들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또 욥에게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은 모두 욥의 잘못된 무언가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4. 하지만 욥은 친구들의 그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오직 하나님께 집중하고 있다.

  1. 하나님을 향한 욥의 태도는 어떠한가?

  2. 욥은 자신에게 닥친 일로 인해서 하나님을 원망 할 법도 한데, 끝까지 자신이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지 않은 것에 대한 자신감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끝까지 하나님께 기도와 간구로 나아가고 있다.


Comments


Featured Posts
Check back soon
Once posts are published, you’ll see them here.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TAYLO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