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4주 과제물

  • pastortkim
  • May 12, 2016
  • 2 min read

BS325 학부

성서해석

Hermeneutics

WMU empowers people

through transformational biblical education

to serve the church and impact the world for Christ.

World Mission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4주 과제물

  1. 구약 성경의 구절(들)을 한 가지 선택하여 모형 해석과 알레고리 해석의 차이점을 설명하십시오

  2. 알레고리 해석은 사실들에는 관심이 없고 오히려 감추어진 영적인 진리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반면, 모형론적 해석은 사실들 간의 비교라고 할 수 있다.

  3. 예를 들어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본 놋뱀이 바로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스도는 십자가에서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과 무한한 사랑을 동시에 만족 시키셨다. 그런데 놋뱀이 “왜 불뱀이어야 하는가?” 하는 질문에서 기독론적 모형론적 해석을 시도했을 때, 불뱀이 하나님의 공의의 심판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놋뱀으로 예표된 그리스도께서 당하신 영원한 지옥형벌, 곧 공의로운 심판과 연결시켜 볼 수 있다.

  1. 마쉬 주교의 모형 해석의 원리를 설명하십시오.

  2. 마쉬 주교는 비펴주의와 성경 해석에 관한 강의에서 신약 성경이 모형이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것만 모형이 된다는 유명한 원리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매우 엄격한 원리로서, 공상적이며 상상에 의해 제기된 많은 모형론적 해석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제시되었다. 이것은 엄격하고 분명한 공식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신학적 사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많은 개신교 주석가들은 마쉬의 원리를 문자 그대로 추종하거나 혹은 그 원리와 아주 유사한 입장을 취하였다.

  1. 마쉬 주교의 모형에 해당하는 것을 성경에서 한 가지 찾아 보십시오.

  2. 페어비어는 마쉬 주교를 비판했는데, 그 비판이 맞다는 것을 한 가지 예를 성경에서 찾아서 설명을 해 보시십시오

  3. 마쉬의 체계 안에서 모형과 원형의 관계는 너무 인위적이다.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신학 체계를 가지고 있다. 구약과 신약은 나란히 흐르는 강물처럼 병행하여 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병행 관계는 양자를 연결해 주는 임시적 연결 통로를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연결 통로는 두 강이 병행하여 흐를 때만 가능하다. 마쉬의 원리는 성경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아니한 연결 통로를 잘라 버릴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는데, 그렇지 않았을 경우 구약과 신약의 관계는 오히려 기계적인 관계가 되었을 것이다.

  1. 중세 로마 카톨릭 신학자들이 사용했던 4중 해석의 문제점을 말해 보십시오.

  2. 중세 로마 카톨릭 신학자들의 해석학적 이론

  3. 사중 해석은 본분이 사중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한다.

  4. 문자적 또는 역사적 의미

  5. 도덕적 또는 윤리적 의미

  6. 예언적, 알레고리적, 또는 모형적 의미

  7. 신비적 의미

  8. “신비적”은 본문이 함축하는 어떤 가능한 미래나 종말론적 요소들을 지칭한다.

  9. 알레고리 해석은 사중 해석의 3번째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이후에 해석학의 문제거리로 등장했다.

  1. 예언 해석의 원리를 설명하십시오.

  2. 모든 예언을 해석하는데 적용되는 기본 원리들 – 천년 왕국에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던 (예언 해석의 결적적 요소), 예언 해석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따라야 할 원리들

  3. 예언 구절의 언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언어가 갖고 있는 비유적, 시적, 그리고 상징적 요소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땅, 지진, 바다와 강, 모래, 하늘의 별들, 해와 달의 캄캄해짐, 그리고 별들의 떨어짐 – 선지자들에 의해 문자적으로 쓰이기도 하고 상징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6. 미래에 대한 예언적 묘사 가운데 상당수가 과거 역사적 사건의 언어로 되어 있다.

  7. 과거의 인물이나 자연 현상도 미래의 인물이나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8. 선지자와 예언의 역사적 배경을


Comments


Featured Posts
Check back soon
Once posts are published, you’ll see them here.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TAYLO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