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과제물
- pastortkim
- May 12, 2016
- 2 min read
BS325 학부
성서해석
Hermeneutics
WMU empowers people
through transformational biblical education
to serve the church and impact the world for Christ.
World Mission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3주 과제물
주해가 신학 체계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십시오
우리는 올바른 성경의 주해로부터 하나님의 진리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해는 어떤 신학 체계보다 앞섭니다.
신학의 체계나 틀이 성경 밖에서 왔을 때마다, 그런 신학은 교회에 폐혜를 끼치곤 합니다.
범신론은 슐이어마허의 신학의 근본 원리였고
논리적 범신론은 헤겔이 기독교를 해석한 중심 축이었고
칸트의 기독교에 대한 개념은 그의 윤리학 이론에 의한 것이었고
리츨의 신학은 칸트의 철학에 이미 예고되어 있었습니다.
신정통주의의 많은 부분은 키에르케고르와 헤겔, 에브너, 칸트, 그리고 부버에 의해 영감되었습니다.
기독교 신학의 근거가 하나님의 계시라면, 신학은 반드시 계시에 근거하고 철학에 근거하지 말아야 합니다.
조직(systematic) 신학자의 과업은 성경 주해적 결과라는 벽돌을 가지고 그의 신학적 건축물을 세우는 것입니다.
철학이 신학적 건축 작업에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자제도 아니고 공법도 아니고 건축자를 돕는 막노동자입니다.
성경 구절의 증거 인용 방식이 심각하게 오용될 수 있는데, 왜 그런지 이유를 예를 들어서 설명해 보십시오
스바냐3:9 – “그 때에 내가 열방의 입술을 깨끗케 하여 그들로 다 나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며 일심으로 섬기게 하리니.”
많은 사람들이 이 구절을 유대인들이 천년 왕국 기간동안 히브리어로 말할 것이라고 해석을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유대 백성들에게 도덕적으로 또 윤리적으로 볼 때 불결한 말이 아닌 깨끗한 말을 주실 것이라는 뜻입니다.
과거의 많은 신학자들이 구원이나 칭의에 관한 무엇을 증명하기 위해 구약의 구절을 인용하는 오류를 범했고, 또한 구약의 이런 구절들이 마치 신약의 로마서나 갈라디아서의 명확하고 투명한 표현들과 방불한 것으로 취급하는 오류를 범했습니다.
보수주의는 성경 본문이 증거로 제시되기만 하면 거의 본능적으로 그 뒷받침되는 논점을 인정하려고 합니다.
인용되는 모든 구절의 건전한 주해적 검토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성경이 무오한데 왜 성경이 불명확하게 기록된 부분들이 있는지를 설명하십시오.
성경의 불명확성에 대한 언급들
베드로는 선지자들도 그들이 기록한 것에 대해 당황해 했다고 기록했습니다. (벧전 1:10 이하)
베드로는 바울이 말한 많은 것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이라고 언급을 했습니다. (벧후3:16)
히브리서 기자는 독자들이 그리스도와 멜기세덱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이해할 수 없다라고 언급을 했습니다. (히5:11)
예수님께서도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들로 제자들을 당황하게 하셨습니다.
성경의 무오성은 성경의 모든 부분을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성경에 불분명한 구절들이 있는 이유
고대 언어들로 기술되고
고대 문화적 배경에서 기술되었기 때문입니다.
성경의 불분명한 것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은 고고학적 발견입니다.
새끼 염소를 어미의 젖으로 삶지 말라는 말씀은 교부 시대 이후로 어려운 부분이었습니다. (출 23:19)
그러나, 고고학적 발견으로 그것은 이교의 우상 숭배의 한 부분이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기도문의 “일용한 약식”에 대한 파피루스가 발견되었습니다.
그것은 군인이나 일꾼의 다음 날의 양식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다이스만은 “오늘 우리들에게 내일에 필요한, 일용할 양식을 주십시오.” 라고 번역을 했습니다.
성경해석에서 성경의 내용이 현대 과학의 체계와 일치하지 않게 기술된 것을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예들을 들어서 설명을 하십시오.
성경의 무오성을 주장할 때, 성경이 과학적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성겨의 언어가 현상적이라고 해서 성경의 무오성을 부인해서는 안된다.
성경이 그 시대의 문화적 조건 속에서 계시되었다는 이유로 성경의 무오성을 부인해서는 안된다.
성경과 현대 과학 사이의 많은 상관 관계를 찾으려는 시도는 적절하지 않다. 히브리서 11장 3절
창세기 1장은 대강의 윤곽을 보여주는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보수주의 개신교의 신앙은 성경에 대해서 무류성과 무오성을 믿습니다. 무류성과 무오성이 무엇인지 각각 성경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십시오.
무류성 – 사람들은 교리적이며 도덕적인 진리에 대해 전적 확신 속에서 성경이 가르치는 교리와 도덕을 신뢰할 수 있다.
무오성 – 성경은 모든 역사적이며 사실적인 문제에 대해 무오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