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과제물
- pastortkim
- May 12, 2016
- 3 min read
BS325 학부
성서해석
Hermeneutics
WMU empowers people
through transformational biblical education
to serve the church and impact the world for Christ.
World Mission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2주 과제물
계시의 적응성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성경은 인간의 생각에 융화(적응)되어진 하나님의 진리이므로 인간의 생각은 그 진리를 자신의 것으로 삼을 수 있다.
성경은 아람어, 히브리어, 헬라어로 쓰여졌다.
성경은 인간의 환경이나 사회적 환경에서 쓰여졌다.
성경은 인간의 환경이나 사회적 환경에서 쓰여졌다.
이러한 환경의 내용을 알 때 우리는 계시된 유비의 의미를 알 수 있다.
계시는 반드시 의인화적(anthropomorphic) 특성을 갖는다.
성막이나 예수님의 비유에서, 인간적이고 이 땅에 속한 것들이 영적 진리를 담아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영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 비유적
하나님의 전능하심: “오른 팔”
탁월함: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는다”
심판: “불”
하늘의 영광: 값 비싼 금, 은 그리고 보석들, 눈물이나 죽음이 없는 상태, 또 생명 나무 등의 인간적 비유
성경의 의인화된 속성을 무시하고 비유적인 것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지 말라.
자유주의자들이 취하는 적응성 개념 이해를 우리는 반대한다.
교리— 성경 저자 시대의 융화물
교리 삭제
주님의 부활의 교리
불트만(Bultmann)— 십자가의 대속적 희생으로서의 속죄제(atonement) 교리 삭제
계시의 점진성을 설명하시오
성경의 계시가 문화와 종교의 발달에 따라 진화된 것이 아니다.
하나님의 주권적인 점진적 활동: 인간을 구약의 신학적 유아기를 통과해서 신앙의 성숙기에로 이끌어 가심이다.
계시의 점진성의 예
산상 수훈— 그리스도께서는 율법 자체의 더 넓고 크며 높은 의미를 밝혀 내시려 오셨다. 십계명이 제시한 도덕성이 인간의 윤리적, 영적, 그리고 신학적 성장에 있어서 출발점이었다면 산상 수훈은 하나님 안에서 신자들이 행해야 하는 훨씬 더 높은 수준을 명령한 것이다.
갈라디아서 서신—그리스도 이전의 시기는 어린 아이의 시기로 후견인을 필요로 하는 미성숙한 시기이고, 그리스도께서 오신 후의 시기는 그와 함께 하나님의 진리의 교훈과 윤리에 관해서도 성숙한 시기가 되었다.
히브리서 1:1-2—하나님께서 선지자들을 통해서 이스라엘에게 계시를 주신 이전의 시기가 있고, 아들을 통해서 교회에 계시를 주신 말세의 시기가 있다.
어거스틴은 계시의 점진성 표현: “시대를 분별하라. 그리하면 성경을 조화롭게 볼 수 있다”
믿음의 유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혼(Horne)—믿음의 유비란 “영감받은 저자에 의해 직 간접으로, 또한 분명하고 명백하며 이해 가능한 언어로 논의된 구절들에서 추출해 낸 믿음과 실천의 근본적인 관점들에 따른 성경의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조화이다”라고 정의를 합니다.
성경의 어떤 한 구절의 해석이 전체의 해석과 모순될 수 없고 조화되어 나타나야 한다.
성경은 통일성을 지닌다.
성경 신학은 통일성을 지닌다.
성경 신학의 조직 체계가 가능하다.
성경의 통일성과 관련된 뜨거운 논쟁
신학이 아니라 신학들
파슨즈(Parsons)—신약에는 하나의 신학이 아니라 여러 개의 신학들이 있다. 요한 신학, 베드로 신학, 바울 신학이 있다.
믿음의 유비가 적용될 수 없다.
형식적인, 조직적인 통일성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쓴 저자들의 주장입니다.
신학자의 과업은 그가 할 수 있는 한 성경의 가르침들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그는 최종적으로 완벽한 하나의 진리 체계가 얻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을지라도 성경으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이런 진리들의 체계를 목표로 한다.
관점의 통일성
관점—하나님은 언제나 거룩하시고 진실하시며 전능하시다. 또 인간은 악하여 언제나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면 살 수 없다는 등
관점의 통일성— 신학은 어떤 형식적인 쳬계나 조직 신학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러한 관점들을 통해 통일되었다.
불트만의 관점— 실존론적 관점
십자가의 신학
십자가 신학은 루터에 의해 창안된 것이며, 영광의 신학과 대조된다.
하나의 조직 신학을 쓰려는 것은 지나친 합리주의이다.
신정통주의— 모든 교리들은 그리스도와의 방사상 구조(바퀴와 살의 구조처럼)로 통일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체계를 형성하는 교리들의 그물망 구조로 통일되는 것은 아니다.
신학의 통일성 논쟁에 대한 결론
신학자는 위의 논쟁의 장점들을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체계화이든 제한이 뒤따른다.
우리는 파슨즈(신학들)나 성경을 조각 조각 찟는 사람들의 극단적인 주장을 따라서는 안된다.
개신교의 해석학에서 문맥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문맥이 중요한 이유를 성경 구절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시오. 다시 말씀드려서, 문맥을 고려하지 않을 때 잘못된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십시오.
레위기 11장에 보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먹을 수 있는 짐승과 먹어서는 안되는 음식들에 대해서 이야기 하신다. 그것을 그대로 해석하게 된다면 레위기 11장 7절에 의하여서는 돼지갈비나 삼겹살을 먹어서는 안된다. 또 레위기 11장 12절에 따라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물 속 생물들, 예를 들어 오징어, 굴, 해삼, 전복 등의 음식들은 가증하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 당시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처럼 어떤 짐승들을 먹지 말라고 하신 것은 이들 짐승들이 이교도들의 우상숭배와 연관된 것이거나, 전염병을 옮기는 것이거나, 이스라엘의 더운 날씨에서는 쉽게 부패하고 변질되는 것이었끼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성경을 문맥을 고려하여 읽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이유와는 전혀 상관 없는 본문의 내용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개신교 해석학의 문헌적 전제는 문화적 해석이다. 성경은 유대인의 문화적 역사속에서 계시된 말씀이기 때문에 문화적 옷을 입고 있다. 그러므로, 해석자는 문화적 옷을 입은 말씀 속에서 하나님의 계시(범문화적인 요소)를 발견해야 한다. 이것을 범문화적 해석이라고 부른다. 범문화적 해석이란 우주적으로 모든 시대에 적용되는 말씀입니다. 예룰 들면, “그리스,도를 믿으면 구원을 받습니다.”
성경의 한 구절 혹은 구절들을 선택하여 문화적 요소를 설명하시오.
하나님께서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셔서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사람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복음 3장 16절.
위의 말씀은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던, 로마의 억압과 통제를 받고 있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보내신 예수님을 믿는 것으로 영생을 얻을 수 있다는 구원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1)번의 선택한 구절 (구절들)에 대해서 범문화적 해석을 하십시오.
하지만 요한복음 3장 16절의 말씀은 지역과 문화와 세대를 뛰어넘어, 영생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수님을 믿어야 한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이것은 과거에도 변함이 없는 진리이며,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변하지 않는, 성경을 압축하고 압축하여 단 하나의 구절로 만들었을 때 남을 수 있는 말씀이다.
Comments